반응형 SMALL 전체 글394 하드페이싱(Hard facing) 은 무엇인가? 하드페이싱(Hard facing) - 금속 재료의 표면을 마모나 부식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각종 합금 층을 용접 또는 코팅하여 적층 하여금속의 수명을 높이것을 말한다. - 산업용 기계설비의 부품 중에서 반복되는 마찰이나 충격, 부식, 열 등으로 인하여 마모가 특히 심한 것들의 경우 그 표 면에 용접 또는 용사(Thermal Spraying)에 의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수합금의 피막을 생성시켜 줌 으로써 수명의 연장을 꾀하는 것을 말한다. 1) 하드페이싱 특징 - 하드페이싱 층의 두께에 따라 마모 특성 및 결합 특성이 변화한다. - 마모/열피로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2) 하드페이싱의 효과 - 금속 부품의 수명을 연장한다. - 불가 동시간을 단축시킨다. - 생상성을 향상시킨다. .. 2020. 6. 10. 좌굴(Buckling) 현상이란? 좌굴(Buckling) 이란 ▣ 압축을 받는 물체가 어느 한계에 가면 작용하는 하중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도 압축력의 수직 방향의 변형이 증가 말하면 하중 제거 후에도 비탄성 거동을 보여 변형이 회복 되지 않은 현상을 말한다 ▣ 기둥이 축 방향으로 누르거나 얇은 판을 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압축하면, 하중이 어느 크기에 도달하는 순간 갑자기 판이 횡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는 축 방향 변위(lateral displacement)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물체의 이러한 거동을 좌굴 혹은 붕괴라고 정의하며 구조물의 안전성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한다. ▣ 좌굴 이론 1) 좌굴 임계 하중/응력 - 기둥이 압축력을 받을 때 좌굴이 발생하는 최소 하중 - 기둥의 길이와 단면의 회전 방경의 비가 높을수록 임계 하.. 2020. 6. 9. 크리프(Creep) 현상이란? 크리프(Creep) 란? ▣ 결정질 고체 재료에 일정 응력, 하중 등을 가하고 긴 시간 동안 특정 온도에서 물체를 유지시키면 하중 또는 응력에 따라 물체는 변형량(Strain)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 크리프가 발생하는 원인 1) 물체의 입자 결정립계 미끄러짐 -인접한 입자 결정립이 공유하는 입계를 따라 전단 응력의 작용으로 서로 미끄러짐 2) 원자 수준의 확산 -원자의 이동성 증가로 주변으로 확산 3) 전위 상승 -확산에 따른 전위 상승 ▣ 크리프 곡선 1) 1st stage 천이 크리프 영역 -전위의 배역과 같은 내부 구조가 하중과 평형을 이루는 구간 -소성 변형에 따른 가공 경화가 발생하는 구간 -시간이 증가할수록 변형은 증가/속도는 감소하는 구간 .. 2020. 6. 8. 금속의 변태란? 금속의 변태 1) 변태 : 결정격자의 변화 또는 자기의 변화 등을 말한다. 2) 동소 변태 : 상이 같은 동일 물질이나 다른 상으로 바뀌는 것 임. 체심 입방격자 ↔ 면 심 입자방 격자 3) 자기변태 : 공간 격차는 일정하면서 물리적 성질 즉 자기 성질이 바뀜을 말한다. 강자성 ↔ 상장성 Fe은 온도 780에서 강자성 ↔ 상자성 ▶성질 관계 1) 동소 변태 - 일정한 온도에서 성질이 급격히 변하는 것 냉각 시는 가열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어남 2) 자기 변태 -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성질이 점차적으로 변하는 것 3) 히스테리시스 - 어떤 양 A의 변화에 의해 다른 양 B가 변화는 경우이며, A를 변화시키는 경로에 의해 같은 A에 대한 B의 값이 서로 다른 현상을 말한다. 2020. 6. 7. 이전 1 ··· 89 90 91 92 93 94 95 ··· 9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