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전체 글465

충격 시험 이란? ◎ 충격 시험 목적 - 재료에 충격적인 하중을 가함으로써 재료의 충격에 대한 저항 및 인성과 취성 정도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 충격 시험 이론 - 재료에 단시간에 순간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재료는 파단한다. 이 파단에 필요한 에너지(흡수 에너지)의 크기로 재료의 강도, 취성을 판단하는 시험을 말한다. 공업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충격 시험은 노치(Notch)를 가진 시험 시편에 충격 굽힘 하중을 가하는 충격 굽힘 실험을 주로 쓰고 있다. - 충격 파괴 시 실제로 시험 시편이 흡수한 에너지 또는 노치부의 원 단면적의 파괴에너지를 나눈 수치로서 그 재료의 충격치를 정의할 수 있다. (샤르피 충격시험은 재료의 내충격성에 다한 정상적인 비교는 가능하지만, 구조물 및 기계 등의 설계 계산에는 직접적으로 사용할 .. 2020. 6. 19.
기초 열역학 정리 ▣기초 열역학 - 열역학은 열(therme)+동력(dynamics) 관련된 현상을 을 통해 열 동력을 얻는 현상을 말한다. 즉 열과 에너지를 물체의 온도나 상태와 관련지어 설명한 학문을 말한다. ⊙ 열역학 제0 법칙 - 열적 평형 : 물질 A 와 B가 접촉할 때 서로 열평형을 이루고 열의 이동이 없다. ⊙ 열역학 제1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Law of energy conservation) 열과 일은 에너지 한 형태로 열은 일로, 일은 열로 변환은 가증하지만 그 에너지 총량은 일전하다. 즉 물리계의 총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 하다는 것이다. ⊙ 열역학 제2 법칙 - 엔트로피의 변화는 항상 0보다 크거나 같으면 고립된 계 에서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현상만 일어나며 감소하지 않는다. 즉 .. 2020. 6. 18.
비틀림 시험 이란? ◈ 비틀림 시험 목적 - 비틀림이란 모터의 축이나 동력장비의 토크관과 같은 구조부재가 종축을 회전시키는 모멘트에 의하여 비틀림 작용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부재에 대한 강도설계를 할 경우 허용 전단응력이 옳게 선정되어야 하며, 비틀림 하중 하의 탄성한도, 항복점 및 탄성계수를 파악함은 중요하다. ◈ 시험 이론 - 위의 그림은 비틀림에 대한 일반적인 예와 비틀림과 함께 전단응력 및 비틀림에 의한 합 응력을 보여주고 있다. 렌치 암 CD의 끝에 같은 크기의 힘 P를 작용하면 축AB에 걸리는 토크(우력)의 크기는 2Pb이다. 축 AB를 비틀림 부재라고 하다. 축 AB는 반대쪽에서 상대적으로 한쪽 끝을 비트는 크기 T인 반대 방향의 토크를 받고 있다. 그림 d는 단면 A와 B 사이의 단면 에 작용하는 토크.. 2020. 6. 17.
열간가공 공정 이란 ◎ 열간가공 공정 - 원하는 형상을 만드는 만드는 방법으로써 높은 온도에서 재료에 응력 또는 원하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재료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공정이다. ◎ 열간가공 공정의 종류 1) 압연(rolling) - 롤을 이용하여 두께를 줄이고 일정하게 만드는 소성 가공 방법이다. 2) 압출(extrusion) - 강한 압력을 가해서 간극으로부터 재료를 압출하여 소정의 모양으로 봉, 관, 바, 선, 튜브 등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3) 단조(forging) - 금속 가공물을 두드려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가공 방법이다. 4) 열간 드로잉(hot drawing) - 드로잉이라는 것은 편평한 박판이나 판재의 깊이가 재료 두께의 몇 배 이상이 되는 오목한 3차원 부품으로 성형하는 소성공정 이며 여기서 열간 드로잉은 .. 2020. 6. 16.
유압밸브 분류 유압밸브(Hydraulic valve) -유압 밸브란 유압에 의해 작동되거나 제어되는 밸브를 말하며 크게 4가지로 분류한다. 1) 유압 제어 밸브(Hydraulic control valve) - 유압펌프에 의하여 압력에너지로 된 작동 유가 기계적 운동 원활하게 할 수있도록 유량, 압력, 방향 등을 조절하고 제어하는 기능 을 한다. - 종류 : 유량제어밸브, 압력제어밸브, 방향제어밸브, 노리 턴 밸브, 차단 밸브 2) 압력제어밸브(Pressure control valve) - 회로 압력의 제한 및 과부하 동작 또는 조작의 순서 동작 등을 외부 부하와 평형 작동 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기이다. (직동시과 Pilot 작동식이 있으며 Pilot 밸브는 먼 곳에서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 종류: 릴리프.. 2020. 6. 15.
파괴 시험과 비파괴시험의 장점과 단점 비파과 시험과 파괴시험의 장/단점 ◈ 파괴시험 - 충격이나 파괴를 재료에 주어 재료의 기계적 성질인 인성과 강도 등을 조사하는 시험이다. ⊙ 장점 1) 재료나 요소가 사용조건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살펴볼 수 있다. 2) 설계에 유용하게 정량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3) 결과를 분석할 때 숙련된 작업자가 없어도 가능하다. ⊙ 단점 1) 시험에 적용된 시험 부품은 파괴된다. 2) 한 가지 시편을 가지고 반복적인 시험을 할수없다. 3) 부품이 고가이거나 소량이라는 제한이 있다. 4) 계속되는 사용에 따른 누적된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5) 자본재나 노동비용이 종종 많이 든다. ◈ 비파괴시험 - 재료를 파괴나 손상하지 않고 재료의 결함 유무나 결함이 존재할 때 그 위치, 모양,.. 2020. 6. 14.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