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분류 전체보기465 주조의 기본적인 요구사항 ▣주조(Casting)란? ▶제품 형상의 치수를 갖는 주형에 용융된 금속을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 고체 금속으로써 제품을 얻는 작업을 주조라고 한다. ▣주조의 기본적인 요구사항 ▶원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 주형 공동은 응고 재료의 수축에 따른 적당한 여유를 가지도록 만들어야 한다. ▶주형 물질은 원하는 세부 모양을 재현 생산할 수 있어야 하고 주형은 용융 재료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내화성을 가져야 한다. ▶매주 조마다 새 주형을 만들어야 하거나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 ▶용융 공정은 용융 금속을 적정 온도로 가열하고 원하는 양을 만족스러운 품질로 적당한 비용 내에서 만들어야 한다. ▶주입 기술은 용융 금속을 주형에 주입하도록 고안해야 한다. ▶주입 전에 공동 내에 존재하거나 고온 금.. 2022. 10. 12. 용접 기본자세 범위 ▣용접자세 란? ▶용접공이 용접하는 경우의 용접부에 대한 자세로서 크게 기본자세와 중간 자세로 분류되고 기본자세는 아래 보기, 수평 자세, 수직 자세, 위로기 자세로 되어있다. ▣용접 기본자세 범위 ▶수평 자세(Horizontal position) : H - 모재가 수평면에 대하여 90˚ 혹은 45˚ 이하의 경사를 가지며 용접선이 수평이 되게 하는 자세로서 현장 용접에서 많이 사용된다. ▶위로기 자세(Over Head position) : O·H -용접봉을 모재의 아래쪽에 대고 모재의 아래쪽에서 용접하는 자세로서 가장 용접하기 어려운 자세이다. ▶아래 보기(Flat position) : F -모재를 수평으로 놓고 용접봉을 아래로 향하여 용접하는 자새로서 용접 시공의 기본자세이다. ▶수직 자세(Vertic.. 2022. 10. 6. 교류 아크용접기의 안전 주의 방법 ▣교류 아크용접기의 안전 주의 방법 ▶일정 조건에서 용접기를 사용할 때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사용해야한다. ▶2차측 전로는 용접용 케이블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해야한다. ▶자동전격방지장치와 용접봉 홀더를 사용 전에 점검해야한다. ▶용접기를 사용해서 하는 금속의 용접 및 용단 업무는 특별 교육을 받은 자가 실시해야한다. ▶2차측 전로에 철구나 대지 등을 사용하고 있으면 용접이 곤란하고 전력이 손실될 뿐만아니라, 전류는 흐르기 쉬운 곳을 통과해야한다. ▶용접할 때에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비산 방지와 함께 소하기를 준비해야한다.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는 하나의 용접기에 대해서 1개의 개페기로 하고, 개폐기에 전선을 접속하는 자는 전기 취급자 또는 용접기의 특별 교육.. 2022. 9. 4. 방호장치의 특징 및 성능 ▣방호장치의 특징 및 성능 ▶위치 제한형 -작업자의 신체 부위가 위험 한계 밖에 있도록 기계의 조작 장치를 위험한 작업점에서 안전거리 이상 떨어지게 하거나 조작하는 장치이다. -양손으로 동시 조작하게 함으로써 위험 한계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장치이다. ▶접근 거부형 -작업자의 신체 부위가 위험 한계 내로 접근하였을 때 기계적인 작용에 의하여 접근을 못하도록 저지하는 기계이다. ▶감지형 -이상온도, 이상기압, 과부하 등 기계의 부하가 안전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안전상태가 되도록 조정하거나 기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호장치이다. ▶격리형 - 차단벽이나 방호망을 기계설비 외부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완전 차단형 방호장치, 덮개형 방호장치, 안전 방책을 가지고 있는 기계이다. ▶포집형.. 2022. 8. 25. 유압 동기회로의 종류 ▣유압 동기회로의 정의 및 특징 ▶유압 동기회로 정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유압실린더를 동기 운전 또는 동일 속도나 위치에서 작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회로를 유압 동기회로라고 한다. ▶유압 동기회로 특징 -실린더 제작상의 공차에 의한 치수 오차 및 부하 분포의 불균일, 유압기기의 내부 누설이나 마찰 저항의 상위 등 곤란한 문제를 가지고있다. -동기 운동을 시키기 어렵고 동기 운동의 차이를 가급적 작게 하도록 여러 가지 동기회로가 필요하다. ▣유압 동기회로의 종류 ▶유량 조정 밸브를 사용한 동기회로 -2개의 유량조정밸브를 실린더의 밸브 측에 설치하고 두 실린더에서의 유출량을 조정하여 동기 운동을 하는 회로이다. -부하 변동, 오일 점도 변화, 오일 누설이나 마모 저항의 상위 등의 영향을 받고 정확한 .. 2022. 8. 17. 보일러 각 부의 구성 ▣보일러 각 부의 구성품 ▶보일러 본체 -노에서 발생한 열을 물체에 전달하여 증발시키는 역할을 하고 보일러수와 증발한 포화증기를 수용하는 압력용기이다. ▶노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연소실과 연소장치로 구성되어있다. ▶과열기 -보일러 본체에서 발생되는 포화 증기를 고온의 연소가스로 다시 가열하여 과열 열증기를 만드는 장치이다. ▶절탄기 or 이코노마이저 -연도를 흐르는 여열로서 보일러에 공급되는 급수를 예열하여 증발량을 증가시키고 연료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예열기 -다량의 공기를 연소배기가스가 갖는 열로 가열하여 노 내에 보내면 열 연소 상태가 양호해지며, 전열작용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여러 가지 유익한데 이런 목적 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급수장치 -일정한 수면 .. 2022. 8. 8.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78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