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전체 글

(458)
강의 취성 ▣ 취성 - 물질에 변형을 주었을 떼 변형이 매우 작으데도 불구하고 파괴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물질이 깨지기 쉽다고 하는 정도를 취성이라고 한다. ▣ 강의 취성 ▶ 청열 취성 - 250 ˚C 부근에서 인장시험을 하면 응력변형곡선은 불연속이 되고 인장강도가 증가되고 신장, 수축은 감소되는 취성을 말한다. ▶ 강의 산화 - 열처리 가열중에 철강이 공기중의 산도 또는 산화성 연소가스와 작용하여 산화점을 만드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산화에 의해서 생긴 단단한 피막은 스케일이라고 말한다. ▶ 강의 탈탄 - 강을 고온에서 오랜 시간 가열하면 산화되고 이때 강중으 탄소가 산화되고 이산화탄소 가스가 되어 제거되는 현상을 말한다.
탄소강의 열처리 ▣ 탄소강의 열처리 목적 ▶ 기계적 성질의 개선 ▶ 피절 삭성의 개선 ▶ 인성의 향상 ▶ 재료의 불균일의 제거 ▶ 내부 응력 제거 ▶ 조직을 개선하고 담금질 효과 향상 ▣ 탄소강의 열처리 종류 ▶ 계단 열처리 - 탄소강의 열처리인 계단 열처리는 담금질, 뜨임, 풀림, 불림 등으로 분류된 열처리 방법이다. ▶ 항온 열처리 - 항온 열처리는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한 강을 연속적으로 냉각하지 않고 담금질하여 그 온도로 일전한 시간 동안 항온 유지하였다가 냉각하는 열처리를 말한다. - 항온 열처리는 담금질과 뜨임을 같이할 수 있고 담금질을 통해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도와 인선이 동시에 요구되는 공구가, 합금강의 열처리로 많이 사용된다. ▶ 연속 냉각 열처리 -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실온까지 여러 가지 ..
래핑(Lapping)이란? ▣ 래핑 이란? - 래핑 이란 두 표면을 연마재와 함께 손으로 움직이거나 기계를 사용하여 함께 문지는 가공 공정을 말한다. ▣ 래핑의 장/단점 ▶ 래핑의 장점 - 다듬질면이 매끈하고 경면 다듬질도 얻을 수 있다. - 제품으로서의 정도가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 다량생산을 할 수 있다. - 작업 방법이 간단하고 설비도 복잡하지 않고 미숙련 자라 할지라도 정도가 높은 것을 작업할 수 있다. - 다듬질면은 내마모성이 좋고 내식성이 높다. ▶ 래핑의 단점 - 작업자의 손이나 의복을 더럽히기 쉽다. - 제품 다듬질면의 랩재는 잔류했을 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지극히 고정도의 제품을 얻는데 숙련도가 필요하다.
클러치 설계 고려 사항 ▣ 클러치 설계상 고려되는 사항 ▶ 접촉면의 마찰계수를 적당한 크기로 잡아야 한다. ▶ 마찰계수는 마찰 재료의 종류, 마찰면의 다듬질 상태, 건조 또는 기름의 유무, 평균 미끄럼 속도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 관성을 적게 하기 위하여 소형이며 가벼워야 한다. ▶ 마모가 생겨도 이것을 적당하게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 마찰에 의하여 생긴 열을 충분히 제거하거나 눌어 어붙기 등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 원활히 단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단속할 때에 큰 외력을 필요하지 않게 해야 한다. ▶ 접촉면을 밀어붙이는 힘이 너무 크게 되지 않아야 한다. ▶ 균형 상태가 좋아야 한다.
여러 가지 나사 ▣ 여러 가지 나사 ◈ 작은 나사(Machine screw or cap screw) - 작은 나사는 축 지름이 비교적 작은 나사로서 지름이 1-9mm인 머리 붙이가 있는 수나사이다. - ISO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작은 나사 머리모양이 치즈, 냄비, 접시, 둥근 접시 등 4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 KS 규격에는 트러스 머리, 바이딩 머리, 둥근 머리, 둥근 납작 머리 등이 있다. ◈ 멈춤 나사(Set screw) - 밀어 박아서 생기는 나사이며 끝이 마찰 정항에 의해 기계 부품 간의 움직임을 막는데 사용하는 작은 나사로 키의 대용 역할을 한다. 그리고 축에 회전체의 보스를 고정할 때 많이 사용된다. ◈ 나사못(Wood Screw) - 나사못은 목재에 나사를 박을 때 사용하는 나사로서 나사부가 긴 원추 ..
용접부의 종류 ▣ 용접부의 종류 용접부는 모양에 따라 구분된다. ▶ 그루브 용접(Groove weld) - 두 모재의 접합면에 접합할 때 가공된 그루브 홈에 용착 금속을 채워 접합하는 용접을 말한다. ▶ 필릿 용접(Fillet weld) - 직교하는 2개의 면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용접으로서 3각형의 모양의 단면을 갖는 용접이다. ▶ 플러그 용접(Plug weld) - 두 모재를 접합할 때 모재의 한쪽에 구멍을 뚫고 판의 표면까지 가득히 용접하여 다른 쪽 모재와 접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플러그 용접이라 한다. ▶ 비드 용접(Bead weld) - 접합하려고 하는 모재를 맞대어 그루브는 만들지 않고 접합하며 평면 위의 비드를 용착하는 용접을 비드 용접이라고 한다. ▶ 덧붙이 용접(Build-weld) - 마멸된 부분이나..
축이음의 설계요점 ◈ 축이음의 설계요점 ▶ 경량이 소형일 것 ▶ 조립, 분해, 붙이기 작업등이 쉬울것 ▶ 회전균형, 중량균형 등이 잡혀 있어야한다. ▶ 중심맞추기가 완전히 되어 있어야한다. ▶ 윤활 등은 되도록 필요하지 않도록 할 것 ▶ 진동에 대하여 강할 것 ▶ 전동용량이 충분할 것 ▶ 회전면에 되도록 돌기물이 없을 것 ▶ 가격이 싼야 할 것 ▶ 전동토크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특성에 적용한 형식 그대로 할 것
바이오센서의 변환기능 ▣ 바이오센서 -효소와 항체 같은 생물학적 물질과 복잡한 혼합물중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분자 사이의 특별한 반응을 이용하는 센서를 말한다. ▣ 바이오센서의 변환기능 -바이오센서는 변화기능이 있고 대표적으로 직접 변환, 생화전변환, 생열전변화, 생광전변화 등 4가지로 분류된다. ▶ 생전변환( 직접 변환) -생물 기능성막이 분자 식별할 때 복합체를 형성하는 경우 고체 표면에서 행하면 고체계면의 전위가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즉 생물 기능성막 반응에서 직접적으로 전기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말한다. ▶ 생화전변환 -효소의 분자식별 반응에서 특정 물질이 증감하게되고 이 물질의 증감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 생열전변환 -생물 기능성막이 분자를 식별할 때 열변화를 수반하고 이 열변화 열을 전기적 신호로 변..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