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재료 역학50

강의 열처리 용어 강의 열처리 용어 정리 ▣ 열처리(heat treatment) - 재료를 적당한 온동서 가열, 적절히 냉각을 말한다. ▣ 담금질(quenching) - 가열된 금속을 급냉시켜 경화하는것을 말한다. ▣ 풀림(annealing) -가공 경화되어 경도 및 강도가 크고 연율이 작아진 금속을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것을 말한다. (전연성과 가공성 회복가능한다.) ▣ 블림(normalizing) -소재를 일정온도로 가열한 후 공냉이 된다. (기계적 성질이 향상 된다.) ▣ 뜨임(tempering) - 담금질하여 경화된 금속을 용해온도 이하의 적절한 온도로 가열한 후 적절히 냉가 한다. (취성을 없애고 인성을 부여 한다.) ▣ 표면경화(surface hardening) - 금속 표면에 내마모성 , 내식성, 내충격성.. 2020. 7. 12.
시효경화와 담금질-템퍼 공정 ▣ 시효경화와 담금질-템퍼 공정 열처리 시효경화 1 단계 용체처리(Solution treatment) : 안정된 단상영역(고상선 이상)에 도 달하도록 가열한 후 균일 화학조성의 단상 고용체가 형성될 때까지 온도 유지한다. 2 단계 담금질(quench) : 불평형 과포화 단상 고용체가 형성되도록 급속 냉각 한다. (결정조직은 변하지 않지만 재료의 경도가 떨어지고 연성이 커짐) 3 단계 시효(age) : 제어된 재가열로 안정된 2상 고용체가 형성된다(고상선 이하). 재료는 안정된 2상구조를 형성하면서 강도와 경도가 높아진다. 더 이상의 확산방지를 위해 급냉시킴으로써 물성을 "동결유지"시킬 수 있다. 강의 담금질 -템퍼 1 단계 오스테나이트화(austenize) : 안정된 단상영역에 도달하도록 가열한 후 균일.. 2020. 7. 10.
냉간가공 장점과 단점 ♣ 냉간가공 이란? - 재결정온도 이하에서 금속의 소성변형시키는 것을 냉간가공이라고 한다. ▣ 냉간가공의 장점 - 가열이 필요 없다. - 우수한 표면 다듬질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치수 관리가 우수하고 2 차 가공이 덜 필요하다. - 제품의 재현성과 호환성이 우수하다. - 강도, 피로와 마멸 성질은 변형 경화(Strain hardening)가 향상된다. - 방향성 성질이 생긴다. - 오염 문제가 최소화된다. ▣ 냉간가공의 단점 - 변형을 시작하고 완료하는 데 더 큰 힘이 필요하다. - 크고 강력한 장비가 필요하다. - 소재의 연성은 적다. - 소재의 표면은 깨끗하고 스케일이 없어야 한다. - 중간 어닐링은 변형 경화에 따른 연성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 주어진 방향성 성질은 해로울 수.. 2020. 7. 9.
굽힘 시험 방법 굽힘 시험 목적 및 방법 ♣ 굽힘 시험 목적 금속재료의 변형 성능을 조사하는 시험이다. 재료를 규정된 외경의 축 둘레로 규정된 각도까지 굽혀서, 만곡부 바깥쪽의 터진 흠, 기타 결함 유무를 관찰, 재료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시험이다. ♣ 굽힘 시험 이란 재료의 휨에 대한 강도와 변형상태 등을 알기 위하여 막대 모양의 시험편을 양 끝에서 받치고 하중을 주어 휨 모멘트를 가하는 시험이다. ♣ 시험 방법 ㄱ. 시편을 준비한다. (연성재료, 취성 재료) ㄴ.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두께와 너비를 측정한다. ㄷ. 굽힘 시험기의 축을 올리고 지지대 위에 시편을 올린다. ㄹ. 축을 시편이 눌리지 않을 만큼 내린다. ㅁ. 굽힘 시험을 실시하고 테이터를 얻는다. 2020. 7. 7.
재료공학 용어정리 ▣ 재료공학 용어 ★ 단조 - 두들겨서 만드는 공정을 말한다. 온도에 따라 성징이 변경된다. (자유 단조, 형단조, 열간단조, 냉간단조 등 이다.) ★ 주조 -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의 틀을 만든 다음 용해된 금속을 부어서 만드는 것을 가리킨다. (단조에 비해 복잡하거나 큰 것을 만들 때 적합한 방법이다.) ★ 압연 - 재료를 롤을 통과시켜 소성변형을 유도하는 공정을 말한다. (냉간 압연의 표면은 열간보다 훨씬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사출 - 플라스틱에 열을 가하여 가소화 시켜서 유압으로 용융 수지를 틀에 쏘아 넣어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 다이캐스팅 - 다이캐스팅은 사출과 거의 모든 면에서 동일하나 플라스틱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용융 금속을 사용하는 것을 큰 차이점이다.(대량 생산 가.. 2020. 7. 3.
피로 시험 방법 ▣ 피로 시험 이란 - 피로시험은 기계나 구조물 중에는 크랭크축, 차축, 스프링 등과 같이 인장과 압축을 되풀이해서 작용시켰을 때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하중이 어떤 값보다 작을 때에는 무수히 많은 반복하중이 작용하여도 재료가 파단되지 않는다.) ▣ 피로 시험의 특성 → 반복 하중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선택한다. → 금속재료의 피로수명에 대한 재료의 형상, 표면 조건 응력 레벨 및 요소의 영향을 평가한다. → 시험 전반에 걸쳐 주로 변형이 탄성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재료에 대한 시험이다. → 일정 진폭의 반복적으로 이뤄지는 노치 시편과 노치없는 시편에 국한이다. ▣ 반복 하중을 받는 피로의 주요 사례 → 회전하는 축이나 차축 → 항공기 날개 등 ▣ 피로 시험 수행 시의 주.. 2020. 6. 29.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