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전체 글

(458)
결합제(Bond)의 종류 ▣ 결합제란? ▶ 숫돌 입자를 경합하여 숫돌을 형성하는 재료를 말한다. ▣ 결합제의 종류 ▶ 비트리파이드(Vitrified bond) 결합체 - 점토나 장석 등의 요업원료를 1,500℃ 정도로 전기로에서 소성하여 자기질화한 숫돌로서 탄성이 적어 물리량 만큼 정확히 연삭이 되고 지립과의 혼합비율에 따라 다양한 조직을 얻을 수 있다. ▶ 실리케이트 결합제(Silicate bond) - 물유리 또는 물초자라고 하는 것으로 사온에서 경화되므로 대현 숫돌을 만드는데 적합하나 결합력이 낮고 연삭열을 극도로 피해야 한다. ▶ 레지노이드 결합제(Resinoid bond) - 열경화성 합성수지인 베이클라이트가 주성분으로 결합력이 크고 탄성이 커서 얇은 절단용 및 중연삭용 숫돌에 이용된다. ▶ 고무 결합제(Rubber b..
유체역학 기본 용어 ▣ 유체역학 이란? ▶ 기체와 액체등 유체의 운동을 다루는 물리학의 한 분야를 말한다. ▣ 유체역학의 기본 용어 ▶ 유체 : 매우작은 전단력이라도 작용시 변형물질 ▶ 비중 : 같은 체적을 갖는 물의 질량, 혹은 무게 ▶ 점성 :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여 전단응력을 말한다. ▶표면장력 : 분자끼리 당기는 힘에 의흔 응집력과 다른 분자에 작용하는 힘 ▶ 모세관 : 직경이 작으면 관안이 밖과 차이를 말한다. ▶ 부력 : 중력과 반대방향, 물체가 유체를 밀어내는힘또는 면적비례하는 힘을 말한다. ▶ 아르키메데스원리 : 물체를 유체에 넣었을 때 받는 부력의 크기가, 물체가 유체에 잠긴 부피만큼의 유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와 같다는 원리를 말한다. ▶ 파스칼의법칙 : 정지하는 유체에 작용하는힘 ▶ 층류 : 질서정연하..
버니싱(Burnishing)다듬질 이란? ▣ 버니싱 이란? ▶ 금속 표면의 다듬질 면을 좋게 하기 위해 문질러서 평활하게 하거나 소성적으로 다듬어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것으로 볼, 롤러 버니싱이 있다. ▣ 볼과 롤러 버니싱 ▶ 볼 버니싱 - 필요한 형상을 한 공구로 공작물의 표면을 누르며 이동시켜, 표면에 소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여 매끈하고 정도가 높은 면을 얻는 가공법을 말한다. - 주로 구멍 내면의 다듬질에 사용되고 연성, 전성이 큰 재료에 사용된다. - 연질재에 대하여서는 강구, 강재에 대하여서 초경합금의 구를 사용한다. ▶ 롤러 버니싱 - 경화된 롤러를 회전하는 공작물에 압착하고 롤러에 이송 운동을 주며, 공작물 표면에 탄성 한도를 초과 압연하여 요철을 감소시켜 다듬질 면을 얻는 방법을 말한다. - 롤러의 직경 및 둥글기 반경이 클 때는..
전해가공(Electrolytic machuning)이란? ▣ 전해가공 이란 ▶ 전기분해를 이용한 가공법이다. 즉 염화 나트륨 수용액 등에 전해약 중에서 단면을 가공 형상으로 만든 공구를 음극으로 하고 공작물을 양극으로 하여 통전하면 공작물을 공구의 표면 형상 대로 용해하는 가공법이다. ▣ 전해 가공의 분류 ▶ 전기 화학 가공(Electro-chemical machining) - 도금과 반대로 공구를 음극에 공작물을 양극에 놓고 전해질 용액을 분출시켜 공작물을 용해 가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 전기 화학 가공은 스파크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공구가 용해, 소모, 변형을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전해 연삭(Electrolytic grinding) - 전해 연마에서 나타난 양극 생성물을 전해 작용으로 갈아 없애는 가공법이다. - 전해 연삭은 가공 속도가 빠르..
호닝(Honing)가공의 특징 ▣ 호닝 이란? ▶ 숫돌로 공작물을 가볍게 물질러 정밀 다듬질을 하는 기계적 가공을 가리킨다 즉 숫돌을 사용하여 원통내면을 다듬질하는 가공을 말한다. ▣ 호닝가공의 특징 ▶ 숫돌과 공작물이 넓은 면에서 접촉하여 많은 숫돌 입자에 의해 가볍게 깎인다. ▶ 저압 저속에 비해 가공 능률이 좋은 편이다. ▶ 온도 상승이 적고, 가공변질층이 적다. ▶ 숫돌과 공작물의 상대 운동으로 높은 정밀도의 가공이 가능하다. ▶ 각 숫돌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여 기초 구멍을 균일하게 확대시킨다. ▶ 강제 절입이 아니므로 절삭량은 압력과 가공시간 및 숫돌의 상태에 따라 변한다.
척의 종류 ▣ 척이란 ▶ 척이란 선반의 부속장치의 하나로서 공작기계의 하나인 선반의 주축 끝에 장착하여 공작물을 유지하는 부속 장치를 말한다. ▣ 척의 종류 ▶ 단동척 - 척의 단동척은 크랭크 공구 축에 수나사와 조오에 암나사가 나 있어서 크랭크 공구를 넣고 돌리면 조오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형태이다. ▶ 연동척 - 연동척은 3개의 조오가 크라운 기어의 반대편에 나 있는 스크롤에 물려있어서 크랭크 공구로 베벨기어축을 돌리면 모두 동시에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여 원형의 가공물을 고정하늗 데 이용되는 척이다. ▶ 콜릿척(Collect chuck) - 콜릿이 축방향으로 찢겨 있어서 공작물을 꽂으면 탄성력과 테이퍼부에 의해 고정되고 작은 가공뭉를 손쉽게 착탈 하는 데 이용되는 척이다. ▶ 전자척(Magnetic ..
단조공정(Forging)의 종류 ▣ 단조공정이란? ▶ 소성가공의 일종으로서 해머, 망치 등으로 금속 가공물을 두르려 원하는 형태로 가공물을 성형하는 공정을 말한다. ▣ 단조공정의 종류 ▶ 자유단조(Open-die drop-hammer forging) - 가열된 금속 소재를 해머나,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원하는 형태로 가공물을 성형하는 공정을 말한다. ▶ 형단조(Impression-die drop-hammer forging) - 제품의 모양을 반대로 한 금형 사이에 금속 소재를 압축하여 가공물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공정을 말한다. ▶ 프레스단조(Press forging) - 프레스 단조는 각 공정마다 한 번씩의 작업으로 이루어지고 해머 단조에 비하여 예비 성형 작업을 할 수 있는 범위가 좁은 공정이다. ▶ 업셋단조(Upset forg..
안전 여유(Margin of safety)와 안전계수 범위 ▣ 안전 여유란? - 물체가 최대하중을 받을 때 추가적인 하중을 얼마나 더 견딜 수 있는가를 나타낸는 값이다. [Ex) 재질의 최소 항복강도 :100 MPa, 구조해석 결과 Von mises stress 50MPa 이때 안전 여유 : 1=100/50-1] ▣ 안전 여유의 특성과 식 - 설계 안전 계수가 정의되어야 계산이 된다. - 설계 안전 계수에 대한 정보 없이도 안전 여유 값만을 알아도 설계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안전 여유식 : 파손 응력 or 하중/(설계 응력 혹은 하중*설계 안전계수)-1 = 실제 안전 계수/ 설계 안전 계수-1 ▣ 안전계수 범위 안전 계수 설 명 1.25~1.5 관리가 가능한 조건에서 매우 신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고, 작용하는 하중 및 응력의 크기를 정확..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