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58)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압 실린더의 취급 주의 사항 ♣공압 실린더의 취급 주의 사항 ▣ 실린더 선정주의 사항 ▶ 튜브의 안지름 -부하 상태, 사용 속도를 잘 고려해서 부하율을 검토해야 한다.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부하율을 낮게 잡아야 한다. ▶ 행정 길이 -행정 길이가 긴 경우는 로드의 강도, 힘 등을 검토해야 한다. -부하에 대한 실린더 길이의 선정 기준의 하나인 좌굴 강도를 고려해야 한다. -행정 길이가 긴 경우는 로드의 지지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 큐션 -쿠션 능력을 검토하고 용량이 부족한 경우는 정지 직전에 감속하거나 또는 외부 완충기의 설치를 검토해야 한다. ▶ 설치 형식 -행정 길이, 부하와의 균형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 -작동 중에 부하가 직선 운동하는 경우는 풋형 플랜지형을 이용하고 부하가 한 평면 내에서 요동할 경우는 .. 이온결합(Ionic bond)의 특징 ▣ 이온 결합이란 무엇인가? ▶ 이온결합은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으로 전자를 방출하여 양이온으로 된 원자와 전자를 최외각에 받아 음이온이 된 전자가 전자셀을 형성하는 결합이다. ▶ 양과 음의 이온은 전기력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것을 이온 결합 이라고 말한다. ▣ 이온 결합의 특징 ▶ 금속 원자는 전자를 잃어 양이온이 되고 비금속 원자는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된다. ▶ 양이온과 음이온의 인력에 의해 형성이 된다. ▶ 전기적으로 중성인 화합물이 생성된다. ▶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고, 단단하지만 잘 부스러진다. ▶ 고체 상태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액체 상태나 수용액 상태일 때는 전류가 흐른다. ▶ 양이온과 음이온이 일정한 개 수비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 압축가공(Squeezing work)의 종류 ▣ 압축 가공이란? ▶ 소재를 공구 사이에 놓고 상부에서 압축력을 가하면 재료 내에서 높은 압축 응력이 발생하여 소재를 변형시켜 성형하는 방법을 말한다. ▣ 압축 가공의 종류 ▶업세팅(Upsetting) - 재료를 길이방향에 압축력을 가해서 길이를 감소시키고 길이와 직각방향으로 재료를 유동시켜 단면을 크게 만드는 성형 가공법이다. ▶압인 가공(Coining) - 소재면에 요철을 만드는 성형법으로 상하의 공구에 소재를 넣고 압축력을 주어서 화폐, medal, 각종 장식품 등을 만드는 작업이다. ▶형부 가공(Embossing) -제품 표면에 서로 반대의 요철을 만드는 가공법으로 공구 사이에 얇은 소재를 놓고 압축력을 가해서 성형하는 가공법을 말한다. ▶사이징(Sizing) -단조, 주조, 가공한 전부나 일부.. 칩의 종류 ▣ 칩 이란? ▶ 공작물이 공구 등에 의해 절삭아 진행되면 날 끝 위에 있는 재료는 소성 변형을 일으키고, 이때 발생해서 분리되는 것을 칩이라 한다. ▣ 칩의 종류 ▶ 유동형 칩 - 연강과 같이 연하고 인성이 큰 재질을 윗면 경사각이 큰 공구로 가공하거나, 절삭 깊이는 작게 하고 높은 절삭 속도에서 절삭유 사용 시 발생되는 칩이다. ▶ 전단형 칩 - 유동형과 같이 칩이 흐르지 못하고 칩을 밀어내는 압축력에 의해 분자 사이에 전단이 발생하여 발행하는 칩의 형태이다. 전단형 칩은 연한 재료를 작은 윗면 경사각으로 절삭 할 때 발생하고 가공면은 좋지 못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 열 단형 칩 - 점성이 큰 재질을 작은 경사각의 공구로 절삭할 때 발생하는 칩이다. ▶ 균열형 칩 - 주철과 같이 메짐이 큰 재료를 .. 측정기의 종류 ▣ 측정의 정의 ▶ 측정은 검사, 측정, 정밀 측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 검사- 부품 또는 제품이 도면에 맞게 가공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활동을 말함. ▶ 측정- 검사를 위한 방법으로 치수, 모양, 거칠기 등을 재는 행위를 말함. ▶ 정밀 측정-길이, 형상, 거칠기 등을 가공 중 또는 가공 후에 측정 또는 검사하는 행위를 말함. ▣ 측정기의 종류 ▶ 줄자 및 자 -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기 이다. ▶ 버니어 캘리퍼스 - 버니어 캘리퍼스는 이미지와 아들자를 이용하여 0.05mm까지 정밀하게 측정하는 측정도구이다. ▶ 마이크로미터 - 나사의 이동량을 회전각에 비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길이의 변화를 나사의 회전각과 지름에 의해 변화를 읽을 수 있도록 한 측정기로써 0.01mm~0.001mm까지 읽을 수 있다. .. 키(Key)란 무엇인가? ▣ 키 란? ▶ 기계부품을 축에 고정시켜서 토크를 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계요소이다. ▣ 키의 종류 ♣ 경사 키 ▶ 안장 키(Saddle key) - 축은 가공하지 않고 보스에만 키 홈을 만들 수 있다. - 보스를 임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마찰에 의해 토크 전달이 가능한 키이다. ▶ 펑키(Flat key) - 축은 기폭만큼 평평하게 가공하는 것이 안장 키와 다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묻힘 키(Sunk key) - 확실한 토크 전달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축은 키 홈 때문에 강도 저하와 피로 파괴에 주의해야 한다. ▶ 접선 키(Tangential key) - 축과 보스에 접선 방향으로 삼각형 키 홈을 만들어 양쪽 홈을 합하여 직사 각형이 되게 할 수 있다. - 강력한 회전력 와 힘의 .. 웜 기어란 무엇인가? ▣ 웜 기어란? ▶ 두 축이 서로 직각을 이루지만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을 경우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말한다. ▶ 일반적으로 윔이 웜휠을 회전시켜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도 한다. ▣ 웜 기어의 장점과 단점 ▶ 웜 기어의 장점 - 좁은 공간에서 큰 감속을 할 수 있고, 소음과 진동이 적은 편이다. - 감속기로 많이 사용할 수 있다. - 부하용량이 크고 역전 방지역할을 할 수 있다. ▶ 웜 기어의 단점 - 웜과 웜휠의 물림이 나사가 감긴 것처럼 동시에 접촉하는 면이 넓다. - 마찰열의 발생이 많고 스러스트가 발생한다. - 웜휠의 형상이 복잡하여 가공에 특수공구가 필요하다. - 호환성이 없다. ▣ 웜 기어의 종류 - 웜 기어의 종류에는 원통형과 .. 축의 분류 축의 분류 ◈ 자축(Axle), 정지차축[종동축] ▶ 회전하지 않으면,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축을 말한다. ▶ 차체 및 화물의 중량을 차륜에 전하는 축의 역할을 한다. ▶ 차체 중량을 받는 위치와 차륜의 위치가 다르다. (굽힘 모멘트 작용됨) ◈ 전동축(Transmission shaft), 회전차축[구동축] ▶ 동력전달을 목적으로 회전하는 축을 말한다. ▶ 주로 비틀림 모멘트를 받으나 굽힘 모멘트도 작용하는 축이다 ▶ 비틀림 강도와 진동에 주의가 필요한 축이다. ◈ 스핀들(Spindle) ▶ 비틀림 모멘트와 굽힘 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축이다. → 굽힘과 비틀림이 적고 내마멸성과 고정밀도 요구되는 축이다. ◈ 프로펠러축(Propeller shaft) ▶ 토크와 축력[Thrust]을 동시에 받는 축이다. ▶..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