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58) 썸네일형 리스트형 버(Burr)제거 방법 ▣버(Burr)란? ▶금속 등을 가공할 때 생기는 얇은 지느러미 모양의 잉여 부분을 버라고 한다. ▶판재의 전단, 단조품이나 주물의 Trimming, 기계가공으로 생기는 삼각형의 앏은 융기부을 뜻함. *Burr는 부품의 조립에 방해가 되고 부품의 피로수명을 단축시킨다. ▣버제거 방법 ▶진동 Finishing 공정 -비교적 소형의 공작물을 대량으로 버제거 작업하고 표면 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연삭입자와 금속 편의 충돌로 공작물의 예리한 모서리와 Burr가 제거되는 공정이다. ▶Shot blasting -공기제트나 회전하는 바퀴로 연삭 입자를 고속으로 분사시키 공작물 표면에 투사하는 방법이다. -금속이나 비금속 재료의 버제거 작업뿐만 아니라 벗기, 청정, 산화피막 제거 등에도 사용된다. ▶연마제 유동가공.. 경납접과 연납접 이란? 경납접과 연납점 ▣경납접(Brazing)란? ▶경납접은 접착면이나 그 사이에 용가재를 놓은 다음 용가재는 녹고 피 용접 물은 녹지 않을 정도로 온도를 높여 접합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경납접의 특징 ▶녹은 용가재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서 접착면 사이의 미세 공간을 채우고 용가 재가 식어서 응고하면 강한 접합부를 이룸 ▶경납접에 사용하는 용거재는 450˚C 이상에서 녹음 ▶경납점은 모재가 융해되어 용접부를 형성하는 액상 용접과 다르며 일 영향부, 뒤틀림, 잔류 응력 등과 같은 문제가 감소됨 ▶용제 -모재의 산화방지를 위해 사용됨 -일반적으로 붕사, 붕산, 불화물, 염화물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짐 -용융된 용가재의 습윤성과 모세관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계면 활성제가 첨가됨 ▣연납접(Soldering)란? ▶납재.. 윤활유의 특성 ▣윤활유 란? ▶마찰력을 줄이거나 마찰열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유상 물질을 윤활유라고 한다. ▣윤활유의 특성 ▶적당한 점도 -윤활유가 작동 부품으로 잘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점도 를 가져야 한다. ▶일정한 점도 지수 -오일의 점도가 온도에 따라 변하는 비율이 적어 일정한 점도를 가져야 한다. ▶카본 생성 및 산화 방지 -고온에 의해 오일이 산화 변질되거나 카본이 생성되지 않아야 한다. ▶부식과 녹 방지 -연소에 의한 생성물이나 열화물이 마찰부의 금속을 부식시키므로 이를 막는 성질이 필요하다. ▶기포발생방지 -기포가 발생하면 윤활 효율이 감소하므로 기포 발생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야 한다. ▶청정 세척 -오일이 열화나 먼지 가루 등에 오염되어 윤활 불량이 되지 않도록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주물사(Molding sand)이란 무엇인가? ▣주물사(Molding sand)란? ▶주조 때 사용되는 모래를 주물사라고 한다. ▣주물사의 요건 ▶주형 제작이 쉽고 원형의 치수와 모양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주형의 취급이나 운반 또는 주입할 때 쇳물의 압력이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쇳물과의 반응이 적고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통기성이 좋아서 주형 안에 생긴 가스의 배출이 쉬워야 한다. ▶주입된 다음에 쇳물의 응고와 수축에 대하여 수축성이 있어야 한다. ▶응고된 다음에는 주형의 파괴나 주물을 주형에서 뽑아내는 작업이 쉬어야 한다. ▶값이 싸야 하고 여러 번 되풀이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주물사의 종류 ▶원료사 -주물사의 주체가 되는 원료 사는 산지, 산출 상태, 가공 상태 등에 따라 여러 .. 플라스틱 특징과 종류 ▣플라스틱(Plastic)이란? ▶열, 압력에 의해 성형이 가능한 재료를 플라스틱이라 한다. ▣플라스틱의 특징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충전제, 가소제, 안정제, 착색제 등의 배합제를 적당히 넣고 성형한 물질로, 각종 제품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강도/비중이 비교적 크다. ▶전기절연성 우수하다. ▶열에 약하다. ▶성형하기 쉬워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화학약품인 산, 알칼리, 기름에 강한 편이다. ▶투명하여 채색이 자유 롭다. ▶내구성이 좋은 편이다. ▣플라스틱의 종류 ▶열가소성 플라스틱 -주로 선 모양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열하면 부드러워져 가소성을 나타내므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는 플라스틱이다. -냉각시키면 성형된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굳어지고 가열하면 다시 유동체.. 냉방 부하(Cooling load)란 무엇인가? ▣냉방부하란? ▶외부 온도 상승, 일사에 의한 열량, 바닥이나 외벽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열량, 실내에서 발생하는 열량 등을 동시에 제거하는 열량을 냉방 부하라고 한다. ▣냉방부하의 종류 ▶침입 열량 -지붕 및 천장에서 들어오는 열량 -외부에서 들어오는 열량 -창에서 들어오는 태양의 복사열 -극간풍에 의한 열량 -바닥 사이벽에서 들어오는 열량 ▶내부 발생열 -인체의 발열량 -전등 그 외 기기의 발열량 ▶외기 부하 -환기를 위한 외기 부하 ▣냉방부하 선정 시 고려되는 사항 ▶냉방부하에는 실내 부하, 장치 부하, 외기 부하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냉방부하 계산 시 재실자 발열, 조명기기의 발열, 복사열 등을 고려해야 한다. ▶극간풍에 의한 취득 열량, 인체의 발생 열량, 기구로부터의 발생 열량 등을 고려해야.. 무단변속기 특징 및 장점과 단점 ▣무단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란? ▶기존 기어 대신에 벨트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변속비를 얻을 수 있는 변속기를 무단변속기라 한다. ▣무단변속기의 특징 ▶소형화, 중량, 부피, 생산비 감소가 가능 ▶배기가스, 연료 소비 감소로 인한 연비 향상 ▶변속에 따른 추진력 변동없는 운전 쾌적성 ▶이상적 구동 및 차속 곡선에 근접 ▣무단변속기의 장점과 단점 ▶장점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엔진의 회전력을 유지시켜 주고 연비를 향상시켜 준다. -기어가 변속될 때 차량이 잠시 가속을 멈추었다가 다시 급격히 움직이는 변속 충격 현상을 없애 주어 차량이 부드럽게 주행될수 있도록 해준다. -변속기는 비용이 적게 들 뿐만이 아니라 고장률이 매우 낮다. -변속기의 유동 부품이 다른 변속.. 분할금형 장점과 단점 ▣분할 금형 이란? ▶성형품의 외부를 형성하는 캐비티부를 2개 이상으로 나누어 이동시켜 외부의 언더컷 부위를 성형할 수 있는 금형을 분할 금형이라고 한다. ▣분할 금형의 필요성 ▶성형품에 언더컷이 있을 때 필요하다. ▶금형 가공상 어려움이 있을 때 필요하다. ▶부분적으로 강도, 내마모성, 고정밀도가 요구될 때 필요하다. ▣분할 금형의 장점과 단점 ▶분할금형의 장점 -성형품의 형상에 따라 분할하여 분할 편에 대해 적정 재료를 선택하고 필요한 열처리 및 표면처리 등을 함으로서 부분적으로 금형의 강도와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분할편이 조립된 틈새로 가스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성형 트러블이 많이 감소된다. -부품의 연삭 가공이 가능하여 정밀도 있는 부품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수리 시 부품 교환이 용이하다. ..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