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분류 전체보기473

소성작업의 분류 ▣ 소성작업의 분류 ▶ 압연 (Rolling) - 회전하는 두 원통 사이로 금속 세공물을 들어가게 만들어 재료의 모습을 변화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 단조 (Forging) - 금속 세공물을 해머 등으로 두드려서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공정을 말한다. ▶ 압출 (Extrusion) - 고정 단면 윤곽의 물체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으로서 금속을 뒤에서 밀어 원하는 형상으로 금속을 성형하는 공정을 말한다. (ex. 와이어, 바, 튜브) ▶ 전단 스피닝(Shear spinning) - 소재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원추형 및 곡선형상의 축대칭제품을 가공하는 방법 ▶ 관재 스피닝(Tube spinning) - 맨드렐과 롤러등을 이용하여 관재를 스피닝하여 그 두께를 줄이는 작업 공정을 관재 스피닝이라한다.. 2020. 11. 25.
엔진 본체 구조 ▣ 자동차 엔진 본체란? ▶ 엔진 본체 내부에서 발상하는 열에너지를 기계적 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피스톤의 직선 운동을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토크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 자동차 엔진의 구조 - 자동차의 엔진의 구조는 크게 3가지로 분류 할수있다. ▶ 실린더 헤드 -흡기밸브, 배기밸브, 흡기 매니폴드, 배기 매니 폴드 가 있다. ▶ 실린더 블록 - 피스톤, 커넥팅 로드, 크랭크 축, 캠축 ▶ 크랭크 케이스 - 오일 팬 2020. 11. 23.
용접 열로 인한 파괴 용접 열로 인한 파괴 ▣ 열 충격 파괴 -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른 커다란 열응력이 의해 단시간 내에 일어나는 파괴를 열 충격 파괴라고 한다. ▶ 열 충격 파괴의 특징 - 열 충격 파괴는 합급강의 균열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스테인리스가의 이종재료 용접을 할 때 열팽창 계수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 열 충격 파괴의 방지 - 열 충격 파괴의 원인은 탄소의 이동에 의한 탈탄 현상 등이 그원이이 된다. 따라서 열팽창계수가 거의 같은 용접 금속 성분을 사용하거나 예열 및 층간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면 열 충격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 열 피로 파괴 - 비교적 완만한 온도 변화가 수십 회 내지 수만 회 반복되어 일어나는 파괴를 말한다. ▶ 열 피로 파괴의 특징 - 일종의 열응력 또는 열취성.. 2020. 11. 22.
방향변환밸브의 분류 ▣ 방향변환밸브의 분류 ▶ 클로즈드 센터형(Closed center type) - 중립위치로서 모든 포트가 폐쇄되고 유로가 전부 차단되는 형태이다. ▶ 오픈 센터형(Open center type) - 클로즈드 센터형과는 역으로 모든 포트가 연결되고 유압유공급쪽이나 부하쪽 모두가 기름탱크로 연결되어 있다. ▶ ABR 접속형 - 포트 P만이 폐쇄되어 있고 다른 포트 A,B는 포트 R에 연결되어있다. 이형태는 파셜리 클로즈드 센터형 또는 프레셔 포트 블록형이라고 불린다. ▶ PR접속형 - 포트 P와 포트 R이 연결되고, 다른 포트 A,B는 폐쇄된 형태를 말한다. 이 형식을 텐텀센터형 또는 센터바이패스형이라고 부른다. ▶ PAB접속형 - 포트 P에서 포트 A,B로 연결되고, 포트 R은 폐쇄된 형태를 말한다. 이.. 2020. 11. 21.
공작기계의 가공 종류 ▣ 공작기계 란? ▶ 공작기계는 각종 기계를 만드는 기계이다. ▣ 공작기계의 대표적인 가공 종류 ▶ 절삭 가공 - 공작물을 깎아서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만드는 가공을 말한다. (주로 금속, 플라스틱, 세락믹 등의 재료로 가공을 한다.) ▶ 연삭가공 - 연삭입자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 선삭가공 - 회전하는 원통 및 원판 형태의 공작물 반경방향으로 공구 바이트를 절입 하고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가공을 말한다. ▶ 드릴가공 - 공작물을 고정하고 공구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축방향으로 이송시켜 공작물에 구멍을 내는 가공을 말한다. ▶ 보링가공 - 공구를 회전시키며 축방향으로 이송하여 이미 가공된 구멍을 확장함과 동시에 고정밀도의 구멍을 가공하는 형태이다. ▶ 밀링가공 - 원통형의 단면 또는.. 2020. 11. 20.
산업용 로봇이란 ▣ 산업용 로봇이란 ▶ 로봇의 한 종류로서 노동현장의 노동자를 대신하여 작업현자에서 노동을 행하는 기계를 말한다. ▣ 산업용 로봇의 기본적인 요소 ▶ 조작기(Manipulator) - 로봇의 팔이라고 불리는 기계장치이며 로봇의 실제 작업을 담당한다. - 기어, 체인, 또는 볼스크루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구를 구동하는 작동기를 가진 기계적 링크와 관절로 구성되어있는 기계를 가리킨다. ▶ 피드백 장치(Feedback device) - 다양한 링크와 관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변환기와 이러한 정보를 디지털이나 아날로그형태로 제어기에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를 말한다. ▶ 엔드 이펙터(End effector) - 로봇의 손이나 그리퍼부분이며, 로봇의 팔 끝에 위치하고 실제로 작업을 수행한다. ▶ 제어기.. 2020. 11. 19.
300x250